개인공부27 애자일 알아보기 애자일 방법론은 그 전부터 강의 곳곳, 인스파이드 북 스터디 하면서도 계속 나왔던 개념이다. 그런데 아무래도 개발 프로세스다 보니 내가 피부로 직접 느껴보진 못했던것 같은데, 오늘 강의를 듣고 조금은? 아주 조금은 개발자의 시점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을 배운것 같다. 특히나 애자일에서 일을 쪼개는 단위를 배우면서, 기획을 하고 개발을 어떻게 사고 해야할지 알 수 있었다. PO나 PM은 특정 기간 동안 어떠한 story를 개발할 것인지를 정하고, 해당 Story를 완성하기 위해서 어떤 작업을 해야 할지 파악 후 Task를 생성하여 담당 개발자들에게 할당, 이후 Task들의 진행상황을 지속적으로 피악하는 것이 PM의 주요 역할이라 배웠다. 이걸 보면서 왜 PM의 업무가 방대한지,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지,, 알.. 2023. 1. 17. 린캔버스 알아보기 린캔버스? 스타트업의 BM을 쉽게 표현할 수 있는 도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이다. 초기 창업자가 본인이 새로 진행하게 될 사업에 대해 이해 ,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하기 위해 사용한다. 어떻게 구성? 총 9개의 블럭으로 구성 크게는 product파트, market파트(타켓시장)으로 구분 1. Problem(문제) : 기업이 해결하고자하는, 고객의 해결이 필요한 문제 ex) 에어비앤비 : 중요 이벤트가 열리는 도시에서 호텔예약이 어려운 우버 : 새벽, 교통체증이 심한곳에서는 운전하기 힘듦어서 시작 우리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 정의하는것 2. customer segment(타켓고객) : 어떤 고객인지 핀포인트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 될 수 있기에 매우매우 구체화하며 고객의 취미까지 생각.. 2023. 1. 16. 우선순위의 중요성 요번 ch.7 강의는.. 그래도 필기하면서 들을만 했던 강의:) 맨날 이렇게 노션에 창 두개 띄우면서 타이핑하면서 들었는데.. 오랜만에 조금 진득하게 필기하면서... 들을 수 있었음 '강사님이 처음 프로젝트는 원래 잘 실패해요' 라고 말하시는데 아무렇지 않게 말씀하셔서 조금 당황(?)하기도.. 실무에서도 정말 다양하게 프로젝트가 잘 안되고, 잘되기 어렵구나라는 걸 느낄 수 있기도 했다.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원인중 가장 큰 두개는 1. 조직 우선순위의 불안정성 2. 프로젝트 방향성의 불안정성 1번 같은 경우 아무래도 회사 조직 자체의 규칙이나 분위기가 있어서 기획자가 손대기 애매한 범주인것 같았고 2번같은 경우는 너무너무 공감된 내용이다. 실제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처음 잡은 가설이나 주제가 프로젝.. 2023. 1. 15. 그로스해킹에 대하여2 오늘은 그로스해킹에 대해 자세히 공부했다. AARRR!! 각각에 대해.. 아주아주 자세히.. 파헤쳐보았다... 처음보는 단어들도 엄청 많았다..! 타이핑.. 하니 요 정도 걸리겠거니 하면서 열심히 들으면서 손은 움직이며 공부했다 ㅎㅎ 1. Acquistion : 고객이 검색을 잘 할 수 있도록 검색엔진의 검색 최적화 앱스토어, 구글스토어에서 비용을 들이지 않고 잘 유입되도록 2. Activation : 대부분 서비스 기획자가 많이 관여하는 부분 중 하나로 우리가 진짜로 고객에게 원하는 행동이 무엇인가를 정하는 것 3. Retention : 여러 기획자의 액티베이션 활동을 통해 우리 서비스의 활성 서비스로 전환이 된 경우, 고객의 필요 또는 서비스의 다양한 활동에 따라서 재방문을 하게 됨 4. Revenu.. 2023. 1. 11. 그로스해킹에 대하여1 이번주 부터는 필기량이.. 도저히 손이 따라가줄 수 없는 양이라.. 바로바로 타이핑하면서 강의를 들었다.. 강사님이 전달해주는 내용은 너무 많은데.. 피피티에는 그림이 많고 설명이 적어 일일히 적으며 들으려니 정말 힘이 드네요..? 한 강의 다 듣는데 보통 8시간 걸리는거 같은데.. 나만 그런가.....? 오늘도 열심히 타이핑하며 들은 강의 내용은! 궁금했던 그로스해킹!! 사실 그로스해킹은 이전에 책에서 한번 본적있다. 토스의 유난한 도전에서! 그렇다면 기획자는 왜 그로스 해킹을 알아야 할까? 디지털 제품을 취급하는 대부분의 그로스팀은 제품의 지속적인 성장을 창출하는 중요한 요구사항에 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서비스 기획자의 중요한 업무는 우리가 맡은 프로덕트의 성장, 마케터가 있다해도 주 고.. 2023. 1. 9. MVP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이번시간에는 사업 초기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에 대해 학습했다. 회사의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는 여러가지 지만, 그 중에서 크게 3가지를 학습했다. 에이전시 SI, PMF를 찾는 중인 회사, PM-FIT를 이미 찾은 회사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이론인 MVP에 대해 공부했다. 최근 MVP를 나는 해커톤을 참여하며 개발자에게 이 이야기를 들었는데... 사실 못알아 들었었다. . 이런말이었구나 너..? MVP(최소기능제품)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 이의 목표는 근복적인 사업 가설을 테스트 하는것이다. 제품의 버전1이라고 실무에서는 많이 이야기 하는듯하다. 그런데.. 공부를 통해 가장 충격이게 와닿았던 부분은 MVP의 P가 product로 상징한다 생각하지만 프로토타입이.. 2023. 1. 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