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정책서와 요구사항 정의서 (feat.약관)
정책서, 약관, 요구정의서는 그동안 직접 경험해 볼 기회도 없고, 강의를 듣기 전까지는 굉장히 추상적이라 생각했는데, 강의를 듣고 과제하면서 공부해 보니 (마침 과제가 직접 정책서, 요구정의서 써보기였음) 뭔가,, 조금 알듯한..!! 느낌..!!? 강사님이 말씀해 주신 실무 내용도 너무 좋고, 개념을 과제하면서 적용시켜 보니 신기하기도 하고, 앞으로 서비스 기획할 때 와이어프레임을 만들면서 요구정의서는 꼭꼭 써봐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동안의 나,, 어떤 기획을 한 거니ㅎㅎ? 이번 정책관련된 강의를 듣다 보니,, 그동안 내가 참 모르는 것도 많았고, 공부하고 알아야 하는 게 많은 게 정말 PM의 역할이구나를 깨닫는 것 같다. 전자상거래법, 개인정보보호법은 진짜 이번 기회로 꼭 다 읽어봐야겠다. #서비스 약관..
2023. 1. 24.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은 여러개?
기획자의 주요 업무를 크게 4가지로 나눠보면, 1. 서비스 기획 : 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 -> 시장 리서치, IA설계, 화면설계 2. 기술 기획 :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적용할 기술의 검증 및 적용범위 검토 -> 스펙정의, 구현기술 리뷰 및 회고, QA 3. 운영기획 :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장애대응, CS응대 등의 지원업무 -> 서비스 정책 정의, CS관리, 장애대응 4. 데이터기획 : 서비스 운영 및 개선을 위한 로그설계, 운영,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로그설계, 데이터 추출, 데이터 분석 이렇게 되는데, 이렇게 까지 나뉠 수 있다니.. 난 어느 표지션일까? 여기서 기술 기획 같은 경우는 개발 지식이 매우 중요한것 같아서.. 개발을 직접 배워보고 싶다는..
2023.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