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공부27 기획자와 개발자는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할까 이번주 아이데이션에 주제가 그동안 내가 많이 고민하던 주제이기도 해서, 학습일지에 적어보려 한다. 주제는 였다. 일단 나는 개발을.. 해본적이 없어서 그동안 해커톤을 하면서 개발자에게 이기능 구현가능한가요? 라고 물었었다.. 처음 해커톤 때에는.. 기능이 구현조차 가능한지 물어보지 않았고.. 그냥 냅다 와이어프레임부터.. 그렸다; ㅎ (정말 아무것도 모르던 기획 이쥬...) 그러나 네차례의 해커톤을 거치고, PM스쿨 강의를 들으면서 깨달은 것은.. 기능이 구현 가능한지?와 같은 개발에 대한 프로세스 이해로 기획자가 갖춰야 할 역량이나,, 나는 더욱 중요한 것이 있다 생각한다. 첫째, 그것은 바로 이다. 하나의 주제로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능이 나오게 된다. 그 중에서 정말 유저.. 2023. 2. 1. 프로젝트 산출물 이해하기 어제에 이어서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배우면서 산출물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그전까지 IA, 요구사항정의서, 정책서 등 단락별로 각각이 무엇인지를 배웠다면 이번주는 이러한 산출물들이 프로젝트의 어떤 단계에서 생성해야하고, 발생되는지를 배웠다. 산출물 이라 하믄.. 처음에 PM스쿨을 알기 전에는.. 용어가 어렵고, 이게 뭐지 ? 했는데 강의를 전부 다 듣고 나니.. 산출물이 어떻게 생기게 되는지 부터,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각 단계별로 산출물은 꽤나 많지만.. 그중에서도 기획자가 꼭 산출해야하는 문서들을 적어서 정리해보았다. 강의에서 실제 기획자님이 업무에서 만드셨던 산출물을 보여주시면서 설명해주셔서 더욱 와닿았긴 했음. IA 같은 경우 Depth별로 엑셀파일로 만드는 것을 보면서... 2023. 1. 31. 프로젝트 이해하기 오늘 수업 중 꽤나 흥미로웠던 부분은 프로젝트 구조 였다. 프로젝트란? 일정한 기간안에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업무 → 정해진 기간, 금액, 인력 하에서 요구사항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 실제 실무에서 대기업인 발주사가 있고 , 발주사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구축사에게 요청하는 것이다. SI업체, 웹 에이젼시 같은 수행사들은 RFP를 작성하고, 제출해서 담당 기업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내가 어느 조직에 취업을 할지는 모르지만, 이러한 이야기들이 조금 흥미로워서 기억에 남았다. 월요일은.. 과제 마감날이기도 해서 거의 매주 월요일은 꼭 카페에 눌러 앉아 있는다..ㅎㅎ 오늘도 지난주 공부 내용을 리뷰하면서 못다한 과제를 했다. 그런데 이번주는 ,, 과제가 나한테 너무너무 어려웠다.. 양도 .. 2023. 1. 30.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UI/UX 는.. 같으면서도 같지 않은.. 학교에서 모바일서비스디자인 수업을 들으면서 어느 정도 학습했었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조금 더 확실히 알게된 시간이었다. 나름대로 공부를 하면서 내려본 정의는 아래와 같다. UI는 보다 각각의 "요소" (버튼, 색, 텍스트) 라면 UX는 사용자의 "경험"이기 때문에 보다 더 큰 범주의 개념인것 같다. 보다 쉽게 다가왔던 내용은 UX에서 구매할때의 #느낌 포장을 개봉할때의 #감정 앱을 설치하면서 느끼는 #감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만족감 재사용할때의 #용이함 각각의 태그들을 보니 UI와 UX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UX는 내가 그 어플, 서비스에 어떤 느낌을 맞고 무엇을 느끼는지에 포커싱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를 떠올렸을 때, 떠오르는 것 감.. 2023. 1. 27. PM 채용 공고 분석해보기 워낙 신입 PM공고는 찾기가 어려운것 같다.. 대부분 적어도 3년이상의 경력직이 자격요건인 경우가 많아서, 웹/앱 서비스 기획 인턴이나 스타트업 PM 신입 위주로 공고를 찾아보았다.신기하게도, 경력직이든 신입이든 PM의 주요 JD나 우대사항은 거의 비슷했다. 나는 도메인 지식으로 금융, 핀테크를 결정하였고, 핀테크 회사를 중심으로 공고를 분석해보았다. 각 5곳 정도의 회사의 공고들을 모두 취합해 보니 (같은 내용 제외) 아래와 같은 표가 완성되었다. 수행업무 지원자격 우대사항 - 서비스고도화및운영 , 마켓/ 트렌드/ 사용자/ 경쟁서비스/ 데이터분석, 담당서비스 KPI정의, 수집, 분석 - PG 의결제서비스/ 프로세스구축및프로덕트관리/ 요구사항분석을통한서비스기능정의및정책수립, 기획안작성/ 개발부서및유과부서.. 2023. 1. 26. 개발문화가 잘 정착한 크로스 펑셔널 조직 #스포티파이 #오늘의집 프로덕트 팀의 구성에 대해 공부했다. 기본적으로 거의 다 비슷한 구성인데 강사님은 먼저 스포티 파이 관련해 이야기 해주시고, 오늘의 집에서는 어떻게 차용되고 있는지 설명해주셨다. 스포티 파이는 요즘에 정말 좋은 개발 문화로 유명한 기업이라 한다. 가장 큰 조직을 Tribe라 부르고 여러 스쿼드가 있다. 기획자, 디자이너, 피엠, 피오 등 이 있다. 스쿼드→ 모든 사람이 모여 있다. 즉, 프로덕트 하나를 만들 수 있는 모든 기능들을 할 수 있는 모든 분들이 모여있다. 스쿼드의 팀장이 아마 리더로 피오로 업무하며 다양한 스쿼드가 모야 하나의 트라이드를 이룬다. 더불어 개발자들이 각자 다른팀, 개발자들끼리의 서로서로 이야기, 성장을 돕기위해 챕터를 운영 → 각각 다른 스쿼드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있는 디자이.. 2023. 1. 2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