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출물2

[YAPP 8주차] 기획자의 산출물을 남겨보자2 #스토리보드 #화면설계서 OVERVIEW 화면설계서까지 작성하면서 진행하기에는 YAPP에서 주는 시간이 넉넉치 않아서 틈틈히 혼자 공부한 내용을 적어보려 해요. 저희 팀은 피그마로는 디자인 화면 확인, 기능명세서는 제가 리스트업 하며 개발자들과 소통했기 때문에 스토리보드는 따로 없이 진행했어요. 사이드플젝에서 산출물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건 아니지만 팀원 모두가 소통을 잘하고 있다면 충분하기 때문에. 제가 팀원들에게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기능명세서, 피그마를 왔다갔다 하면서 봐야 하는게 조금 불편했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처음부터 스토리보드로 소통했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도 남는데요,( _ _) 그럼 지금부터 기획자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산출물인 '화면설계서'를 공부한 내용을 담아볼게요. 1. 화면설계서?스토리보드? 뭐가 .. 2023. 12. 27.
[YAPP 7주차] 기획자의 산출물을 남겨보자 #IA #기능명세서 #정책 이번 프로젝트에서 나의 스킬업을 위해 목표한 것은 기획자의 얼굴인 '산출물을 제대로 남기보자'였다. 앞서 마인드맵을 활용해 전체 기능을 구조화하였고, 디자이너와 와이어프레임을 짜며 화면 기획을 함께 병행했는데, 이때 만든 산출물들을 하나씩 공유해보려 한다.  IA(정보구조도)한눈에 서비스의 구조를 파악하는 문서IA는 흔히 메뉴트리, 메뉴구조도 라고도 많이 섞어 말하는 것 같은데, 내가 공부를 하며 느낀 것은 IA와 메뉴구조도는 엄밀히 말하면 다른 개념이다. 메뉴구조도는 정보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정보구조도는 표로 표현한 것! 나의 경우 IA의 DEPTH를 페이지로 기준을 잡았고, 그 기준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혼돈의 카우스 여정 공유초기 IA를 작성할때, DEPTH 기준에 대한 개념이.. 2023.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