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완결] PM스쿨

MVP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by 혜피연 2023. 1. 8.

이번시간에는 사업 초기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에 대해 학습했다. 회사의 성격에 따른 기획자의 업무는 여러가지 지만, 그 중에서
크게 3가지를 학습했다. 에이전시 SI, PMF를 찾는 중인 회사, PM-FIT를 이미 찾은 회사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이론인 MVP에 대해 공부했다. 최근 MVP를 나는 해커톤을 참여하며 개발자에게 이 이야기를 들었는데... 사실 못알아 들었었다. . 이런말이었구나 너..?


MVP(최소기능제품)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을 구현한 제품, 이의 목표는 근복적인 사업 가설을 테스트 하는것이다. 제품의 버전1이라고 실무에서는 많이 이야기 하는듯하다.


그런데.. 공부를 통해 가장 충격이게 와닿았던 부분은 MVP의 P가 product로 상징한다 생각하지만 프로토타입이란 것!!!

<인스파이드 발췌>
제품이라는 것은 엔지니어가 자신감을 가지고 출시 할 수 있고, 고객이 원하는 일을 처리 할 수 있도록 판매하고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최소한의 기능을 하는 것일지라도 학습하기 위해 실제 제품 수준의 것을 만드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한다. 당연히 이것은 린의 원칙과도 대조된다






MVP의 사례로 나온 서비스로는 drop box, 에어비앤비 등이 있었는데, 아래 링크에 잘나와있어서 가져와봤다.

 

대단히 성공적인 MVP (최소존속제품) 사례 10가지

이 글은 Chris Bank가 최근 기고한 글을 저자 허락하에 번역 편집한 글입니다. (원문은 좌측 링크 통해 확인 가능) 오늘날 린스타트업을 채택한 기업들과 기술 공룡들은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제품

businessmodelz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