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프로젝트/[완결] YAPP

[YAPP 11주차] 여비에 GA 붙이기 #앱스트림#데이터수집

by 혜피연 2024. 1. 23.
OVERVIEW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 앞으로 여비를 출시한 후에 지속적인 운영계획이 있기에 GA는 기본으로 세팅을 하기로 했어요. GA가 전부터 어떤 툴인지는 대충 알았지만 실제로 제가 기획한 서비스에 달아본건 처음인지라 앱 스트림이 뭔지, 앱에 어떻게 달아야 하는지, 개발 이야기를 제외하고 소개해보려 해요:) 

 

1. GA4 그게 뭐죠?

 

GA는 온라인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툴인데요, 사용자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줘요. 현재는 GA4로 버전이 많이 업글 되었는데요, 모바일 시장과 앱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툴도 점점 진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철처 : 구글

 

현재 구글에서 올해 7월까지만 UA 과정을 들을 수 있더라구요ㅎ 4년 전쯤부터 알고는 있었는데..  그동안 귀찮아서 미뤄오다가 이번에 수료했습니다ㅎ  GA4가 나왔어도, 큰 틀은 변하지 않아서 나름 오래된 강의 내용였는데도 꽤 유익했어요! 링크:https://analytics.google.com/analytics/academy/


2. 앱에 어떻게 다는건데?
계정 만들기 → 속성 선택 → 스트림 생성 → 앱에 달기  

먼저 계정 만들기예요. 이 링크에서 http://analytics.google.com 계정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계정이 있는 분들은 아래 그림처럼 + 만들기를 눌러서 계정을 새로 만들면 되는데요, 계정을 만드는 과정은 사진을 참고해 주세요!

 

 

1. 계정 이름 넣기
2. 4가지 모두 선택하기
3. 속성 만들때 대한민국으로 맞추기!
4. 카테고리 및 비즈니스 규모 선택하기
5. 기준보고서 보기로 체크!

 

 

다음은 스트림 만들기예요.

저는 ios앱을 선택했고,  그 후에도 몇 단계가 있는 데, 전부 체크하면 끝이에요! 간단하죠?

(스트림이란, GA와 앱을 연결해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로입니다. 이 통로가 있어야 GA에 사용자 데이터가 보이겠죠?)

 

 

1. ios를 선택해주고

 

2. 3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3. 끝나요!

 

 

저는 바로 3단계! 에서 구글 인포 파일을 다운받아서 개발자분께 넘겨드렸어요. 여기서부터는 기획자의 영역이 아니더라고요..ㅎㅎ 이 구글 인포 파일로 워크스페이스(개발자들이 개발하는 툴)에 넣어서 작업한 이후, GA 대시보드에 데이터들이 수집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는 거라고 해요. 

구글 인포 파일

 


 

보통 GA는 웹에서 많이 활용되다 보니, 앱에는 어떻게 달아야 하는 건지, 기획자가 해야 하는 것은 뭔지 처음에 완전 까막눈이었는데,, 막상 해보니 어렵지 않았던 거 같아요.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구글에서 제공해 주는 이벤트 외에 조금 더 자세히 보기 위해서는 이벤트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는 공부가 더 필요할 거 같네요..! 다음은 이벤트 공부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 

 

 

 

[TMI] 

UA 초보자용 과정을 수료하기!ㅎㅎ GA4가 되면서 큰 의미가 있을까 싶긴 한데요, 그래도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보고서들에 대한 내용과 개념을 쓱 훑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대시보드를 제공해 주니까 혼자 많이 실습해 보려고요.

 

수료당

 

-다음엔 이벤트를 달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