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주요 업무를 크게 4가지로 나눠보면,
1. 서비스 기획 : 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 전반을 담당
-> 시장 리서치, IA설계, 화면설계
2. 기술 기획 :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적용할 기술의 검증 및 적용범위 검토
-> 스펙정의, 구현기술 리뷰 및 회고, QA
3. 운영기획 :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장애대응, CS응대 등의 지원업무
-> 서비스 정책 정의, CS관리, 장애대응
4. 데이터기획 : 서비스 운영 및 개선을 위한 로그설계, 운영, 데이터 추출 및 분석
-> 로그설계, 데이터 추출, 데이터 분석
이렇게 되는데, 이렇게 까지 나뉠 수 있다니.. 난 어느 표지션일까?
여기서 기술 기획 같은 경우는 개발 지식이 매우 중요한것 같아서.. 개발을 직접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쫌 든다ㅎ
개발을 직접 구현하진 않아도.. 개발 공부를 해야겠다는 필요성을 요즘 더 피부로 느끼고 있는지라.. ㅜ

아무래도 개발자에게 00기능 구현 가능한가여?라고 물어보는 것 자체가.. 강사님도 말씀하셨듯 시간, 비용낭비...
내가 진짜 잘 알고 있다면.. API도 정의하고 할텐데..?
그리고 운영기획이 아직 정확히 피부로 와닿지는 .. 않는..!! 운영은..서비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사용자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 서비스, 이 기능은 어떤 로직인지를 판단해 정책을 정의하고 하는건데,,, 아직 난 정책 정의가 어떤건지 잘 모르겠다 ㅠㅠ공부를 좀더 하면 알 수 있을까..!!!?
그리고 마지막 데이터 기획같은 경우, 요즘 PM이 갖춰야 할! 필수역량이라고 생각한다.
SQL 까먹지 않도록.. 데이터분석 프로젝트도 조금 해야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개인공부 > [완결] PM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서 작성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법률 (문화, 역사, 인프라) (0) | 2023.01.23 |
---|---|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서비스 기획 입문 (0) | 2023.01.20 |
서비스 기획 업무, AB Test (3) | 2023.01.18 |
애자일 알아보기 (0) | 2023.01.17 |
린캔버스 알아보기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