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완결] PM스쿨

기획자와 개발자는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할까

by 혜피연 2023. 2. 1.

이번주 아이데이션에 주제가 그동안 내가 많이 고민하던 주제이기도 해서, 학습일지에 적어보려 한다. 주제는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3가지> 였다.

벌써 5차라니..!

일단 나는 개발을.. 해본적이 없어서 그동안 해커톤을 하면서 개발자에게 이기능 구현가능한가요? 라고 물었었다..

처음 해커톤 때에는.. 기능이 구현조차 가능한지 물어보지 않았고.. 그냥 냅다 와이어프레임부터.. 그렸다; ㅎ (정말 아무것도 모르던 기획 이쥬...)

 

그러나 네차례의 해커톤을 거치고, PM스쿨 강의를 들으면서 깨달은 것은.. 기능이 구현 가능한지?와 같은 개발에 대한 프로세스 이해로 기획자가 갖춰야 할 역량이나,, 나는  더욱 중요한 것이 있다 생각한다.

 

첫째, 그것은 바로 <설득> 이다.

하나의 주제로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능이 나오게 된다. 그 중에서 정말 유저가 원하고, 필요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리서치를 바탕을 찾고 정의하는 것이 기획자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을 명확한 근거를 통해 개발자에게 이야기하며 그들을 설득하는 것이 내 경험상 중요했다. (실제로 어떤 기능이 있을때, 이런 기능이 왜 있죠..? 왜 있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라고 나의 팀원이 말한적도 있었기 때문)  이렇게 개발자도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면서, 단순히 '개발'만 하는 개발자가 아닌, 팀으로 다같이 함께 의견을 나누면서 일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협업이 아닐까 생각하며 기획자는 이들의 역량을 이끌고, 공감하는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그것은 바로 <관리> 이다.

와이어프레임이 확정이 되면서 개발 환경이 구축되면, 클라이언트 쪽에서도 개발을 시작한다. 실제로 이러한 개발 스케줄 매니징 또한 정말 중요한 기획자의 역할이기에 개발자와 소통 중 중요한 것이 관리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지라 협업툴을 사용해서 기획자가 어디까지 개발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우선순위를 알려주면서 개발자가 가는 길을 잃지 않도록 옆에서 계속 매니징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한다.

 

아이데이션 주제를 받고 그동안 pm스쿨에서 여러 아티클을 읽었던 것, 나의 경험이 합쳐져서 많은 고민끝에 두가지를 이곳에 적고 싶었다. 앞으로는 더욱 개발을 공부해서 진짜 코드리뷰도 가능한,,기획자가 되고 싶은데.. 몇년차에 가능할까요?ㅎ

 

 

 

-노력하쟈 아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