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완결] PM스쿨

기획자가 UX를 이해하는 방법

by 혜피연 2023. 1. 27.

UI/UX 는.. 같으면서도 같지 않은..

학교에서 모바일서비스디자인 수업을 들으면서 어느 정도 학습했었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조금 더 확실히 알게된 시간이었다.

나름대로 공부를 하면서 내려본 정의는 아래와 같다.

UI는 보다 각각의 "요소" (버튼, 색, 텍스트) 라면

UX는 사용자의 "경험"이기 때문에 보다 더 큰 범주의 개념인것 같다. 

 

보다 쉽게 다가왔던 내용은 UX에서 
구매할때의 #느낌 
포장을 개봉할때의 #감정
앱을 설치하면서 느끼는 #감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만족감
재사용할때의 #용이함


각각의 태그들을 보니 UI와 UX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UX는 내가 그 어플, 서비스에 어떤 느낌을 맞고 무엇을 느끼는지에 포커싱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를 떠올렸을 때,  떠오르는 것 감정은... 나에게는 "추천 잘해줌"이고

에어비앤비를 떠올렸을때, 떠오르는 감정은.. "따듯함" 인 것 같다. 

이러한 감정이 서비스를 기획할 때 전부 들어가도록 디자인을 할 것이기에 내가 구현하려는 서비스와

어울리는 감정, 나타내고자 하는 디자인을 잘 전달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UX를 위한 4가지 관점

1. 인지적 : 지각, 시각, 기억, 행동
     인간이 어떻게 하나의 정보를 인지하고 처리하는가?
     (내가 넷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인지하고, 처리하고 있는가..)
     -> 이를 통해 넷플이 이런 UX를 고려해서 만들었구나를 역으로 기획측면에서 생각해 보기
2. 감정적 : 신뢰, 이해, 심미적, 유용함
    심리적 변화와 변화의 이해를 어떻게 느끼는가?
   -> 유사한 서비스를 옮겨다니다라도,, 각각의 느낌이 다 다름, UX가 다르기에.
       사용자의 감정을 어떻게 이끌어야 할지 고민해야 하는 것
3. 상황/맥락 : 상황인지, 환경요소, 문제해결, 유용성
    사용자는 컨텍스트(맥락)의 영향으로 외부 환경과 어떤 관계적 경험을 형성하게 되는가?
    -> 사용자-서비스가 어떤 관계이기에 잊지 않고 돌아오는지..
4. 행동적 : 사용자이해, 행동패턴, 문제해결, 행동데이터
    어떻게 행동하는가?
   -> 일주일 중,,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

 

어떤 UX를 고려해서 지금의 UI가 나왔는지를 케이스 스터디할 때 자세히 살펴봐야겠다.